분류 전체보기 (38)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트레스는 과연 나쁘기만 한 것일까?-스트레스의 이해 "모두 잘될 거야.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아도 된단다"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본 경험이 있는 독자들도 많을 것입니다. 병원에서도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입니다"라는 이야기를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트레스는 무엇이며, 과연 항상 우리에게 나쁜 영향만 주는 것일까요? 중요한 면접을 앞둔 취업 준비생이 있습니다. 서류 전형까지는 잘 합격했지만, 면접은 잘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되어 잠도 잘 못 자고, 식사도 잘하지 못합니다. 면접을 생각만 해도 스트레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옵니다. 하지만 모두에게 면접이 스트레스이기만 할까요? 이런 상황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는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여도 훨씬 덜한 스트레스를 받을 것입니다. 우리는 같은 상황에서 .. 스트레스 대처방안 -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자세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여러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노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발생한 상황의 원인을 찾아 해결하려고 하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 감정을 해결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스트레스 상황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발생시킨 상황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 경우 정서적인 대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경우 문제의 원인을 찾아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해결 중심 접근이 바람직합니다. 친구와 대화를 하던 중 감정이 격해져 무심코 뱉은 말이 친구에게 큰 상처를 준 것 같아 불편한 마음이 든다면, 친구에게 정중하게 사과하고 자신.. 정신질환 바로알기-도박중독에 대하여 1. 도박중독이란? 이전에 '중독'에 대해 이야기하면 보통 술이나 약물 같은 것들을 남용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재는 쇼핑, 게임, 도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중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애를 비물질-관련 장애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비물질-관련 장애는 알코올 중독 등과 같은 물질 사용 장애에 버금가는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도박은 "불확실한 결과에 대해 금전적인 것들을 걸고 하는 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아주 작은 소소한 내기들도 도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출근하자마자 커피를 타러 가는 직원이 오늘도 출근해서 커피를 타러 갈지 말지를 걸고 직원들끼리 천원 내기를 했다고 해도 도박에 속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도박 자체가 문제는 ..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일까요? 1. 자폐스펙트럼 장애란? 정신질환 통계 및 편람(DSM-5)에서는 자폐증,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성전반적 발달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등을 모두 묶어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증상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핵심 증상은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함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정상적인 방법으로 사회적 접근을 시도하지 못하고 비정상적 방법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또한 번갈아가며 대화하지 못하며 대화에서 상대와 감정을 공유하거나 공감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정서적인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어 대인관계에 큰 어려움을 경험합니다. 두 번째는 행동이나 흥미, 또는 활동에 있어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스스로 하는 활동이 매.. 정신질환 바로 알기 - 공황장애의 증상 및 치료 1. 공황장애란 공황장애는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panic attack)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공황장애를 가진 사람은 언제 어느 시점에서 공황발작이 일어나게 될지 몰라 항상 불안하고 두려워합니다. 또한 공황발작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하여도 걱정과 염려를 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공황발작을 피하고자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이나 부적응적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는 공황발작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불안장애입니다. 공황장애 환자의 1/2~1/3 정도는 광장공포증을 동반하며, 남성보다는 여성의 비율이 2~3배가량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발병 연령은 다양하지만, 청소년 후기와 30대 중반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는 양상을 보이며, 평균적인 발병 연령.. 사회성 발달-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 1.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모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듯이 아동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엄마의 자궁에서 나와 처음 세상을 본 영아가 가장 먼저 관계를 맺는 사람은 바로 어머니일 것입니다. 이 시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큰 핵심은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입니다. 출생 후 1년간 맺는 주 양육자와의 관계는 이후 성인기의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한 관계입니다. 애착에 관하여 정리된 글을 아래 링크에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https://ruecompany.com/entry/%EC%82%AC%EB%9E%8C%EC%97%90-%EB%B0%9C%EB%8B%AC%EC%9D%84-%EC%97%B0%EA%B5%AC%ED%95%98%EB%8B%A4-%EC%95%A0%EC%B0%A9%EB%B0%9C%EB.. 스트레스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테스트 하기 1. 스트레스란? 중요한 면접을 앞두고 있는 취업 준비생이 있습니다. 오랜 기간 취업을 하지 못해 주변에서 눈치도 많이 보게 되었고, 스스로도 많이 위축된 상황입니다. 1차 서류를 통과하고 이제 면접만 남은 상황입니다. 면접 하루 전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여 잠이 오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업 준비생은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알게 됩니다. 스트레스는 크게 3가지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입니다. 이것은 주변의 여러 환경이나 사람을 통한 자극으로 발생되는 스트레스입니다. 위의 취업 준비생의 경우처럼 중요한 면접을 봐야 한다는 그 상황 자체가 자극으로 작용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합니다. 두 번째는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입니다. 첫 번째로.. 가정폭력-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의 원인과 대처방안 1. 가정폭력이란?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에서는 가정폭력을 "가정 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부간, 부모-자녀 간, 형제나 자매 간 등 가정 안에서 벌어지는 모든 폭력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가족 구성원의 범위를 현재 가족만이 아닌 전 배우자나 동거하는 친족도 모두 포함하도록 범위를 확대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신체적인 폭력만 폭력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언어를 통한 학대, 즉 언어폭력으로 인한 정서적 학대 또한 가정폭력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도 많이 늘어났습니다. 가정폭력의 유형은 신체적, 언어적, 정서적, 성적, 방임 등으로 구분됩니다. 2.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이전 1 2 3 4 5 다음